글쓰기 훈련을 선언한 지 6주 째다. 5 17일부터 일주일에 두 편의 글을 써서 올리겠다고 약속했다. 어떤 약속을 했을 때 그것을 해내든 못 해내든 반드시 평가와 점검이 필요하다.  

 

5 17일 박사님이 좋아하는 시 1 이라는 글부터 6 17일 해외학습탐사 공지 글까지 총 15편의 글을 올렸다. 공지사항에 2, 하고 싶은 말에 12, 에세이 한 편이다. 돌아보니 주로 공지 성격의 글과 탐사나 수업의 후기를 썼다. 그냥 퍼나른 글도 5편이다. 순수한 글은 에세이 한 편 뿐이다. 편 수로는 목표를 달성했다고 할 수 있으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글쓰기 훈련의 목적은 내 안의 생각들을 정리해서 표현하는 것인데, 순수한 에세이가 적었다는 것은 훈련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왜일까? 글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조금 구체적으로 얘기하자면 두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첫째, 소재 선정의 어려움이다. 어떤 주제를 가지고 써야 할 지 고민을 많이 한다. 시기적절하고, 도움이 될만한 글을 쓰려고 하다 보니 소재 선정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조선일보의 만물상, 동아일보의 횡설수설, 경향신문의 여적 등의 칼럼을 관심 있게 본다. 매일 감탄한다. 역시 글쓰기 훈련을 오래한 선수들의 글은 시기적절하고, 균형감이 있어 읽어내기가 수월하다.

 

둘째, 독서량의 부족이다. 인풋이 충분치 않은데, 쥐어짠다고 쉽게 나올 리 만무하다. 매일 신문을 정독하고, 관련 도서를 틈틈이 읽어서 기초 체력을 쌓아야 한다. 처음부터 좋은 글은 나올 수 없다. 글쓰기는 부족한 부분을 여실히 드러낸다. 그러나 그런 드러냄이 없다면 발전도 없을 것이다. 조금 챙피하고, 부끄러워도 그냥 훈련의 과정이라고 여기면 된다.

 

세상만사 성공의 핵심은 깊은 관심을 오랫동안 이어가는 것이다. 어떤 일을 지속적으로 꾸준히 한다는 것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한비야가 가장 무서운 사람은 무슨 일을 매일 꾸준히 하는 사람이라고 했던 것처럼. 글쓰기도 내 몸에 습관이 되어 자동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훈련해야한다. 앞으로 남은 7주 동안 글쓰기 훈련에 더욱 몰입해야겠다.